본문 바로가기

교통/고속도로&도로

다차로 하이패스로 고속도로 운전 빠르고 안전하게!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다차로 하이패스 확대 설치에 관하여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고속도로 운전을 해 보면 하이패스로 고속도로 통행료를 지불하면 현금 지불보다 훨씬 빠르게 결제하고 지나갈 수 있어서 참 좋습니다.

다만 지나가는 통로의 길이 두 갈래로 갈라진다거나 지나가는 통로가 살짝 좁은 느낌이 들어 속도를 줄여야만 했습니다.

그래서 조금 위험한 느낌이 들 때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국토교통부에서 구축하려는 것이 바로 '다차로 하이패드'입니다.

기존의 하이패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좀 더 안전하고 신속하게 운행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제가 최근에 저희 집 근처의 영동고속도로의 북수원 IC를 통과할 때 이용해 보았는데요.

기존 하이패스보다 훨씬 안정감 있게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차량의 속력 조절을 크게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 좋았습니다.

 

이제부터 다차로 하이패스에 관하여 좀 더 자세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다차로 하이패스에 관한 정보의 출처는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1091번 '다차로 하이패스로 편하게 지나가세요'입니다.

이 보도자료의 원문이 궁금하신 분은 옆의 바로가기를 눌러 확인하시길 바랍니다.(바로가기)

보도자료의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출처: https://pixabay.com/

 

 

1. 국토교통부는 ‘다차로 하이패스’를 전국적으로 대폭 확대 설치(2021년까지 60개소)할 계획

 


2. ‘다차로 하이패스’는 두 개 이상의 하이패스 차로를 연결하여 보다 넓은 차로 폭을 확보함으로써 운전자가 사고위험 없이 빠른 속도로 고속도로 톨게이트를 통과할 수 있게 함 (아래 사진 참조)

출처: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1091번 '다차로 하이패스로 편하게 지나가세요' 

 

 

 

 

3. 기존 하이패스는 차로 폭이 협소(3.5m 미만)한 경우가 많아 제한속도가 30km/h로 설정되어 있고, 운전자가 불안감을 느끼는 불편이 있었음

 
4. 다차로 하이패스는 주행속도 그대로 영업소를 통과해도 안전상 문제가 없으며, 운전자도 압박감을 느끼지 않고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음.

-제한속도는 80km/h(본선형 영업소), 50km/h(나들목형 영업소)로 조정


5.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차로 하이패스의 종합만족도는 4.10점(5점 만점)으로 단차로 하이패스(3.18점)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남

 

 

출처: https://pixabay.com/

 


6. 2021년까지 총 60개소 영업소에 다차로 하이패스를 확대 설치할 계획(아래 캡처 내용 참조)

출처: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1091번 '다차로 하이패스로 편하게 지나가세요' 


7.  통행시간 단축(1,113억 원), 운행비용 절감(232억 원), 환경비용 절감(55억 원) 등 연간 1,400억 원의 편익이 창출될 것이라는 분석

 

8. 하이패스 한 차로 당 처리용량이 최대 64%(1,100대/시간→1,800대/시간) 증가되어 영업소 부근의 지정체가 크게 해소되고, 매년 30건 이상 발생하는 톨게이트 부근의 교통사고도 차로 폭 확장에 따라 크게 감소할 것으로 기대됨 

 

출처: https://pixabay.com/

 

 

이렇게 다차로 하이패스 확대 설치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교통사고율을 살펴보면 일반도로보다 고속도로가 사고의 비율이 훨씬 낮습니다.

그만큼 고속도로가 안전성이 높다는 것이겠지요?

다만 고속도로는 사고가 나게 되면 큰 피해를 입히는 사고인 경우가 많습니다.

당연히 고속으로 운전을 하기 때문입니다.

더욱 안전한 고속도로가 되기 위해서 다차로 하이패스를 설치하는 것은 무척 좋은 방안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경제적이 이득과 교통체증을 줄일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훨씬 안전하고 빠른 고속도로가 될 수 있는 다차로 하이패스 제도의 시행은 참 잘 만든 정책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러한 다차로 하이패스가 모든 국민들의 안전과 편리함을 제공해주길 바라며 이번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