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태풍 바람 세기 태풍 강도 태풍 크기 태풍 이름 짓는 방법에 대하여 알려 드리겠습니다.
제가 글을 쓰고 있는 2020년 여름은 무척이나 장마가 길었습니다.
기간만 긴 것이 아니라 8월 초부터 8월 중순까지 전국적으로 무척 많은 양의 비를 내렸습니다.
전국의 여러 지역에서 홍수와 비로 인한 피해가 막심했고, 가장 소중한 생명을 잃은 분들도 무척이나 많았습니다.
자연 앞에서 인간의 나약함을 다시 한번 느끼게 하였습니다.
이번 집중호우로 인명 피해를 당하신 분들의 명복을 빌고 관련 가족분들에게 위로의 마음을 전합니다.
이렇게 길었던 장마가 끝나자마자 이번에는 강력한 태풍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2020년에 8번째로 만들어진 제8호 태풍 '바비'였습니다.
이 태풍은 대만 해상에서 만들어졌는데 해수면의 수온이 높아 많은 수증기가 유입되어 우리나라 쪽으로 오면서 무척 강력하게 발전하였습니다.
역대급의 바람을 지닌 태풍이라고 뉴스에서는 연일 보도하였습니다.
그리고 서해안을 타고 올라와 한반도의 서쪽 지역에 큰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수원도 서쪽에 가까우므로 태풍이 지나갈 때까지 좀 걱정스러운 마음이었습니다.
그러나 다행히도 전국적으로 큰 피해 없이 잘 지나갔습니다.
수원에는 새벽녘에 최대로 가까이 도달하였는데 그리 큰 바람이라고는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천만다행입니다.
그런데 제8호 태풍 바비가 지나가고 소멸되자마자 제9호 태풍 소식이 들려오기 시작하였습니다.
그 이름은 '마이삭'입니다.
9호 태풍 마이삭은 대한해협을 지나갈 것으로 예측되어 남해안과 부산 경남 지역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과거 우리나라에 큰 피해를 줬던 태풍 '매미'가 지나간 방향으로 생각됩니다.
이번 태풍도 8월 30일 현재 점점 세력이 세지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우리나라에 큰 피해 없이 지나가길 바랄 뿐입니다.
특히 인명 피해는 절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렇게 우리나라 여름, 특히 늦여름과 초가을에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걱정과 큰 피해를 가져다주는 태풍에 대하여 이번 글에서 상식적인 정보를 알려 드리려고 합니다.
이번 글의 정보의 출처는 기상청 날씨누리 홈페이지 - 태풍 메뉴입니다. (바로가기)
1. 태풍의 강도 구분 (바람 세기 구분)
1) 태풍 강도 분류 방법: 태풍 중심 부근의 10분 평균 최대 풍속에 따라 분류함
2) 풍속별(바람 세기별) 강도 구분
강도 | 최대 풍속 | 피해 사례 |
- | 초속 17m 이상 ~ 초속 25m 미만 (시속 61km 이상 ~ 시속 90km 미만) | |
중(normal) | 초속 25m 이상 ~ 초속 33m 미만 (시속 90km 이상 ~ 시속 119km 미만) | 지붕 날아감 |
강(strong) | 초속 33m 이상 ~ 초속 44m 미만 (시속 119km 이상 ~ 시속 158km 미만) | 기차 탈선 |
매우강(very strong) | 초속 44m 이상 ~ 초속 54m 미만 (시속 158km 이상 ~ 시속 194km 미만) | 사람, 커다란 돌 날아감 |
초강력(super strong) | 초속 54m 이상 ~ (시속 194km 이상 ~ ) | 건물 붕괴 |
3) 태풍 강도 화살표 (강도별 발생 가능 피해 사례)
2. 태풍의 크기 분류
1) 2020년 5월 15일 이전에는 태풍 중심으로부터 15m/s 이상의 바람이 부는 곳(강풍반경)까지의 거리를 태풍의 크기로 정함
2) 2020년 5월 15일부터는 크기 분류가 아닌 강풍반경(태풍 중심부터 15m/s 이상의 바람이 부는 곳)과 폭풍반경(태풍 중심부터 25m/s 이상의 바람이 부는 곳)으로 구분함
3) 2020년 5월 15일 이전 기준 태풍 크기 한반도 비교
-소형(Small): 300km 미만
-중형(Medium): 300km 이상~500km 미만
-대형(Large): 500km 이상~800km 미만
-초대형(Extra-large): 800km 이상
3. 태풍 이름 짓는 방법 안내
1) 2000년부터 아시아-태평양지역 국민들의 태풍에 대한 관심과 경계를 높이기 위해서 각 태풍위원회 회원국이 제출한 이름을 순서대로 붙임
2) 14개 국가가 10개씩 제출한 총 140개가 각 조 28개씩 5개 조로 구성되고, 1조부터 5조까지 순차적으로 이름으로 붙임
(예: 캄보디아 1조 담레이 -> 중국 1조 하이쿠이 -> 북한 1조 기러기 ->...............)
3) 140개를 다 사용하면 다시 1번부터 다시 사용함
(예: 베트남 5조 사올라 -> 캄보디아 1조 딤레이)
4) 태풍 이름표 (2019년 3월 20일 기준)
1조 | 2조 | 3조 | 4조 | 5조 | |
캄보디아 | 담레이 | 콩레이 | 나크리 | 크로반 | 트라세 |
중국 | 하이쿠이 | 위투 | 펑선 | 두쥐안 | 무란 |
북한 | 기러기 | 도라지 | 갈매기 | 수리개 | 메아리 |
홍콩 | 윈욍 | 마니 | 풍웡 | 초이완 | 망온 |
일본 | 고이누 | 우사기 | 간무리 | 고구마 | 도카게 |
라오스 | 볼라벤 | 파북 | 판폰 | 참피 | 힌남노 |
마카오 | 산바 | 우딥 | 봉퐁 | 인파 | 무이파 |
말레이시아 | 즐라왓 | 스팟 | 누리 | 츰파카 | 므르복 |
미크로네시아 | 에위니아 | 문 | 실라코 | 네파탁 | 난마돌 |
필리핀 | 말릭시 | 다나스 | 하구핏 | 루핏 | 탈라스 |
대한한국 | 개미 | 나리 | 장미 | 미리내 | 노루 |
태국 | 쁘라삐룬 | 위파 | 메칼라 | 니다 | 꿀랍 |
미국 | 마리아 | 프란시스코 | 히고스 | 오마이스 | 로키 |
베트남 | 손띤 | 레끼마 | 바비 | 꼰선 | 선까 |
캄보디아 | 암필 | 크로사 | 마이삭 | 찬투 | 네삿 |
중국 | 우쿵 | 바이루 | 하이선 | 뎬무 | 하이탕 |
북한 | 종다리 | 버들 | 노을 | 민들레 | 날개 |
홍콩 | 산산 | 링링 | 돌핀 | 라이언록 | 바냔 |
일본 | 야기 | 가지키 | 구지라 | 곤파스 | 야마네코 |
라오스 | 리피 | 파사이 | 찬홈 | 남테운 | 파카르 |
마카오 | 버빙카 | 페이파 | 린파 | 말로 | 상우 |
말레이시아 | 룸비아 | 타파 | 낭카 | 냐토 | 마와르 |
미크로네시아 | 솔릭 | 미탁 | 사우델 | 라이 | 구촐 |
필리핀 | 시마론 | 하기비스 | 몰라베 | 말라카스 | 탈림 |
대한한국 | 제비 | 너구리 | 고니 | 메기 | 독수리 |
태국 | 망쿳 | 부알로이 | 앗사니 | 차바 | 카눈 |
미국 | 바리자트 | 마트모 | 아타우 | 에어리 | 란 |
베트남 | 짜미 | 할롱 | 밤꼬 | 송다 | 사올라 |
-위 표 내용과 같이 최근 제8호 태풍 이름이 베트남 3조 '바비'였고, 그다음으로 발생한 제9호 태풍 이름은 캄보디아 3조 '마이삭'입니다.
-만약 제10호 태풍이 발생한다면 중국 3조 이름으로 '하이선'이 될 것입니다.
이렇게 태풍 바람 세기 태풍 강도 태풍 크기 태풍 이름 짓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곧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다는 제9호 태풍 마이삭이 더 크게 발달하지 않길 바랍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큰 피해를 주지 않고 지나가길 바랍니다.
이번 글이 태풍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 분들께 작은 도움이라도 되었길 바랍니다.
이것으로 이번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보 > 기상과 기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1월 날씨 전망 겨울 날씨 기온과 강수량 예보 알아보기(1월 평균기온 평균 강수량 안내) (2) | 2020.10.24 |
---|---|
2020년 12월 날씨 전망 초겨울 날씨 기온과 강수량 예보 알아보기(12월 평균기온 평균 강수량 안내) (0) | 2020.09.25 |
2020년 11월 날씨 전망 늦가을 날씨 기온과 강수량 예보 알아보기 (11월 평균기온 평균강수량 안내) (0) | 2020.08.24 |
2020년 대한민국 기후변화 상황 내용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20에 대하여 알려 드립니다. (0) | 2020.07.29 |
2020년 10월 가을 날씨 기온과 강수량 예보 알아보기 (10월 평균기온 평균강수량) (0) | 2020.07.27 |